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국산 기술로 만든 KTX-이음 열차가 2년 전 처음 도입됐는데요.<br> <br>승객들의 민원이 빗발치고 있습니다. <br> <br>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? <br> <br>전민영 기자의 현장카메라 지금 시작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서울과 강릉을 오가는 ktx-이음입니다 <br><br>최신형 고속열차지만 승차감은 비포장도로를 달리는 듯하다는데요. <br> <br>문제점을 짚으러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 <br>강릉행 KTX 안. <br> <br>수도권을 벗어나기도 전, 갑자기 의자가 심하게 흔들리고, 사방에서 둔탁한 소음이 들려옵니다. <br><br>탁자에 올려둔 음료수 병이 진동에 떨어집니다. <br> <br>승객들은 멀미가 날 지경입니다. <br> <br>[장연아 / 경남 진주시] <br>"새마을호는 멀미나는 느낌이 안 났는데 이건 약간 멀미 나는…." <br> <br>[신정숙 / 강원도 강릉시] <br>"승차감은 어디 비포장도로 같은 데 다니는 그런 느낌. 상체가 완전히 흔들릴 정도로 너무 과격하게…. 제가 지금 심장이 안 좋은데 굉장히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." <br> <br>직원들도 힘들긴 마찬가지. <br> <br>[KTX 승무원] <br>"많이 불편하죠. 순회할 때 많이 흔들려서 중간에 거치대 잡고, 이 의자 잡고 많이 가죠." <br> <br>기자가 직접 타보니 전체 223km, 2시간 노선 중 30분 넘게 심한 진동이 느껴졌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진짜 심하다." <br><br>KTX 이음은 지난 2021년 도입돼 강릉선과 중앙선, 중부내륙선부터 달립니다. <br><br>그런데 지난해부터 강릉선 중 일신역, 원덕역 인근 등 상행선 5곳, 하행선 5곳에서 심한 진동이 발생했습니다. <br><br>지난달까지 승객들이 제기한 진동 관련 민원만 236건이나 됩니다.<br> <br>KTX-이음은 국가 예산 포함 4000억 원을 들여 개발한 국산고속열차. <br><br>열차 양 끝에서 기관차가 열차를 끌고 가는 기존 KTX와 달리, 각 객차마다 모터가 달려있어 기동성이 좋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운행 2년 만에 문제가 불거진 겁니다. <br><br>코레일이 임시방편으로 감속 운행을 해도 진동은 여전합니다. <br><br>열차가 시속 160km를 달리고 있는데요. <br> <br>저도 중심을 잡기 힘들 정도입니다.<br> <br>국토교통부와 코레일은 열차 하부 진동을 잡아주는 '요댐퍼' 부품의 문제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[류기윤 / 코레일 고속차량처 차장] <br>"4년 정도의 수명 주기가 보장돼야 하는 부품입니다. (그런데) 약 1년 정도 영업 운행 후에 기능 저하 현상이 나타났습니다." <br><br>코레일과 열차 제조사인 현대 로템측은 진동흡수 장치를 교체하고 열차 바퀴를 깎는 등의 조치를 5월까지 마치겠다는 계획.<br> <br>철도제작 업계의 시각은 다릅니다. <br> <br>[철도제작사 관계자] <br>"기준에 맞는 부품대로 납품을 했는데. 동력분산식으로 운행을 해본 적이 없어요, 우리나라에서는. 처음이다보니까 시공사(코레일)의 설계에서 뭐 문제가 있었을 수도 있고…." <br> <br>[임남형 / 충남대 철도연구소장] <br>"각각의 기준은 다 통과가 됐을 거란 말이죠.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생긴다는 건 어디엔가 서로가 악영향을 주는 (열차와 선로의) 상호작용이 유발됐다. 인자가 무엇인지 차근차근 찾아내야…" <br> <br>국산 기술로 마련한 고속철도 '이음'. <br> <br>진동을 줄이려고 감속 운행하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전민영입니다. <br><br>PD : 윤순용 장동하 <br>작가 : 전다정<br /><br /><br />전민영 기자 pencake@ichannela.com